2022.06.26일
구분 | 확인 대상 접종 | 비고 |
---|---|---|
0~1개월 접종 | (3종) BCG(결핵), ⇒ 피내접종권장 HepB(간염) 1차, HepB 2차 |
|
2개월 접종 | (4종) DTaP(디프테리아,파상풍,백일해) 1차, IPV(소아마비) 1차, Hib(뇌수막염) 1차, 소아폐렴 1차 |
|
4~6개월 접종 | (9종) HepB(간염) 3차, DTaP(디프테리아,파상풍,백일해) 2~3차 IPV(소아마비) 2~3차 Hib(뇌수막염) 2~3차 소아폐렴 2~3차 |
|
12~15개월 접종 | (5종) MMR(홍역,볼거리,풍진) 1차, 수두, 일본뇌염 1차(사백신: 한달간격 2차, 1년후 3차접종 / 생백신: 1년후 2차) Hib(뇌수막염)4차, 소아폐렴 4차 |
|
15~18개월 접종 | (1종) DTaP(디프테리아,파상풍,백일해), 4차 추가접종 |
|
만 4~6세 | (4종) DTaP(디프테리아,파상풍,백일해), 5차, MMR(홍역,볼거리,풍진)2차 |
|
만 12세 | (2종) 일본뇌염 사백신 5차, TD(파상풍,디프테리아) 또는 Tdap 추가접종 |
중학교1학년 |
접종명 | 접종대상자 | 접종방법 | 접종시기 |
---|---|---|---|
B형간염 | * 접종대상우선순위 - 모든 신생아 및 영․유아 -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의 가족 - 혈액제제를 자주 수혈 받아야 되는 환자 - 주사용 약물중독자 - 의료기관 종사자 - 수용시설의 수용자 및 근무자 -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 |
* 0,1,6개월 방법 - 1차접종후1개월 뒤 - 2차접종후5개월 뒤 |
연중 |
유행성 출혈열 |
유행성출혈열 균에 오염이 가능한 환경에서 일하는 사람 | -기초접종: 1개월 간격으로2회 접종 -추가접종: 2차접종1년 후1회 접종 |
8~9월 |
인플루엔자 | 인플루엔자에 의한 합병증이 많이 생기는 위험군(만성질환자, 65세 이상 노인 등) | 1회 접종 | 10월 |
폐렴구균 | 만65세 이상 | 평생1회 접종 | 연중 |
예방접종 종류 | 국소 이상반응 | 전신 이상반응 |
---|---|---|
BCG(결핵) | 국소 궤양(붉은점-고름-딱지)반흔, 단 3개월이내 아뭄, 국한성 화농성 림프절염 |
매우 드물게 파종성 결핵골염 |
디프테리아·파상풍·백일해 (DTaP) | 통증, 발진, 압통, 경결 단 7일이내 증상완화 | 어지러움, 식욕부진, 구토, 발열, 경련, 일시적 저긴장, 드물게 과민성 쇽, 뇌증 |
소아마비 | 압통, 발적, 경결 (단단하게 굳음)등 | 드물게 마비 |
B형 간염 | 통증, 종창, 경결 | 발열, 권태, 구토, 관절통 피부발진 |
홍역·볼거리·풍진 (MMR) | 발열, 발진, 이하선염 등 | 발열, 발진, 관절통 중추신경계 부작용 소양감, 혈소판 감소증 림프절 종창, 드물게 뇌증, 이하선염, 과민성쇽, 무균성뇌막염 |
수 두 | 통증 , 압통 | 발열, 수포성발진, 드물게 대상 포진 |
일 본 뇌 염 | 통증 , 종창 , 발적 | 발열, 두통, 권태감, 드물게 중추신경계 부작용(뇌염, 뇌증) |
소아폐렴 | 접종부위의 통증, 부종, 발적 | 발열 |
뇌수막염 | 접종부위의 홍반, 발적, 부종, 통증 | 울음, 발열과 자극감, 식욕부진, 구토, 설사 |
장티푸스 | 통증 , 발적 , 경결 | 발열 |
신증후출혈열 (유행성 출혈열) | 가려움증, 색소침착, 발적, 통증, 근육통, 부종 | 발열, 권태감, 근육통, 구역질 |
인플루엔자 | 통증 , 발적 | 근육통, 관절통, 불쾌감, 발열, 드물게 과민성 쇽 |
예방접종 | 금기사항 | 주의사항 |
---|---|---|
BCG(결핵) | 면역 결핍상태나 면역억제 상태 | |
B형간염 | 2Kg미만의 유아, 출산시 임산부가 HBsAg(-)임이 확인된 경우, 백신 접종을 연기하고, 생후 1개월째 접종 할 수 있다. 그러나 임산부가 HBsAg(+)인 경우 신생아의 체중에 무관하게 HBIG와 B형 간염 백신을 즉시 투여한다. | |
소아마비 | 임신 | |
디 ․ 피 ․ 티 | 과거 디피티 접종 후 다음과 같은 상황이 생겼을 때 | |
-7일 이내에 뇌증 -진행성 신경계 이상 (영아경련, 조절 안되는 간질발작, 진행성 뇌증 등) |
*48시간 내 40.5℃이상의 발열 *48시간 내 허탈 또는 쇼크 *3일 내 경련 *48시간 내 3시간 이상 심하게 울 때 |
|
홍역․볼거리․풍진 (MMR) |
-임신 -면역결핍 또는 억제 상태 |
*최근에(11개월 이내)면역글로불린 등
항체를 함유한 혈액제제를 투여한 경우 *혈소판 감소증 또는 혈소판감소성 자반증의 과거력 |
일본뇌염 (사백신) |
*접종전 1년 이내 경련이 있었던 경우 *심혈관 질환, 신장질환, 간장질환자로서 급성기 또는 가속기, 활동기 *발열이 있거나 현저한 영양장애 |
|
일본뇌염 (생백신) |
-면역기능 이상이 있었던 경우 _면역글로불린 투어 -스테로이드 복용 -임신 |
|
수두 | -세포면역 억제상태 -임신 |
11개월 이내에 항체를 함유한 혈액제제를 투여받은 경우 |
인플루엔자 | -이전에 백신 접종 시 심한 알레르기
반응(아나필락시스 등)을 보인 경우 -백신성분(계란 단백 포함)에 대한 심한 알레르기 반응(아나필락시스 등) |
|
뇌수막염 | - 이 약 성분, 특히 디프테리아 단백질에 과민성인 사람 - 임부,수유부 및 가임여성(안전성이 확 립되어 있지 않다. - 발열 또는 급성 감염이 있는 환자 |
|
소아폐렴 | - 백신에 대한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 - 중등도 이상의 급성 질환을 앓고 있을때 |